구분 과정명 장소 교육대상자
사업소개
사업소개 페이지 입니다.
-
- 축산물품질평가원은 축산유통·소비트렌드 급변에 대응하고, 지속가능한 축산유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
축산유통분야 전문인력을 양성을 위해 농업분야 및 타 품목과 차별화된 축산유통분야 전문교육을 제공합니다.
-
- 「축산법」 제36조제4항제5호 축산물 등급판정·품질평가 및 유통에 관한 조사·연구·교육·홍보사업
- 「축산물 유통의 관리 및 지원에 관한 법률(가칭)」 제18조(축산물 유통 관련 전문인력의 육성)에 따른 축산유통교육 운영 준비
-
(교재제작) 2023 축산유통의 이해(총론), 축산 유통·마케팅(실무)
(시범교육) 축산물 유통구조 등 4개 과정(4회, '23. 11.10.∼12. 1.)
*(대상) 내부직원, 축산 관련 대학(원)생, 축산유통 종사자 등 202명외부 교육운영
-
(대학연계) 5개 대학
* ‘축산유통의 이해’ 기초교재 부교재 채택 및 교과목 연계 활용
* 경상대·부산대·순천대·공주대·제주대
-
축산·유통 종사자 외부교육 운영(10.31.∼11.1.)
* (과정명) 축산상품 SNS 마케팅 전략, (장소) aT농식품유통교육원(수원), (정원) 20명경기마스터 대학 교육 개설 및 운영(9.22∼11.21.)
* (대상) 한우반 25명, (강사) 유통혁신본부장 등 내·외부 총 7명, (내용) 축산물 등급·이력· 유통 및 주요사업 소개(11주)대학 연계 축산유통 교육과정 정규 계획
* 축산유통 교육기초 교재 배포를 통한 기존 교과목 연계·활용 및 정규화·학점 부여 등의 자체활용 방안 마련온라인 축산유통 교육기반 구축
* (내용) 축산유통 교안(축산유통의 이해, PPT, 외부자료 등), 교육신청·접수, 영상학습 등축산유통 교육 전문성 강화를 위한 기관 표준 교안(PPT) 마련
* 우리원 ‘등급·이력·유통정보’ 교육용 교안 제작 및 배포교육체계 정립을 위한 시행지침·세부실시 요령 등 마련
※ 축산유통 교안 및 전문자료는 축산유통교육관리시스템 →자료실에서 확인 가능